본문 바로가기
디지털 마케팅 | 광고

#4. 퍼포먼스 광고의 효율 끝판왕! 다이나믹 리타겟팅(Dynamic Retargeting)이란?

by GOJ119 2023. 1. 21.

이전 포스팅에서 리타겟팅(or 리마케팅)이 무엇인지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았습니다. 디지털 마케팅의 본질과 매우 가깝다 라고 말씀드리면서 리타겟팅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드렸었는데요. 오늘 설명드릴 내용은 리타겟팅에서 한단계 더 발전된 다이나믹 리타겟팅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다이나믹 리타겟팅이란 무엇인가?

리타겟팅은 웹사이트에 방문한 이력이 있는 유저를 다시 타겟팅하는, 타겟팅 방법 중 하나라고 설명드린 바 있습니다. 그리고 방문한 이력이 있는 유저들을 아래와 같이 상황에 따라 오디언스를 분리하여 광고를 노출시킨다고도 말씀드렸죠.

"1) 방문은 했지만 구매 이력이 없는 유저 그룹, 2) 장바구니에 제품을 담아놓고, 구매한 이력이 없는 유저 그룹, 3) 회원가입을 했지만 구매한 이력이 없는 유저 그룹, 4) 2번 이상 구매한 이력이 있는 유저 그룹, 5) 최근 7일 이내 방문한 유저 그룹 "

그럼 이러한 궁금증이 들 수 있을 것 같아요. 상황을 떠나 유저들이 관심있어 하는 제품/서비스들이 각각 다를텐데, 오디언스 그룹 단위로 광고를 보여주는 것 대신 각각 유저별로 관심사나 니즈를 분석해서 그에 맞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없을까?

이러한 궁금증이 드셨다면 다이나믹 리타겟팅을 이해하는데 한발자국 가까이 온거에요.

다이나믹 리타겟팅은 웹사이트에 방문한 이력이 있는 유저들에게 그들이 직접 조회한 제품들을 노출시키는 타겟팅 방법입니다. 즉, 제가 나이키 웹사이트에서 A 제품을 조회한 후, 구매하지 않고 이탈을 했다면, 이후 저에게 나이키의 A 제품을 보여주는 형식인거죠.

제가 일전에 정수기를 구매하려고 쿠팡에서 다양한 정수기를 검색하고, 제품을 비교했었는데요. 당시 구매를 하지 않고, 이탈한 후, 다른 브라우저에서 기사를 읽다보니 아래와 같은 광고가 노출되었어요. 신기하죠?

다이나믹 리타겟팅 예시

 

우리가 흔히 아는 배너 광고는 제품이 노출되는 형태(아래 사진 중 빨간색 참조) 보다는 이미지 형태(아래 사진 중 파란색 참조)인데, 조금 다르죠? 이처럼 다양한 상품이 노출되는 광고는 다이나믹 리타겟팅 광고(동적 리타겟팅)라고 부르고, 이미지 형태로 노출되는 광고는 스태틱 리타겟팅(정적 리타겟팅)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다이나믹 리타겟팅 광고 예시

자, 그럼 쉬운 질문 하나 내볼게요. 다이나믹 리타겟팅과 리타겟팅 광고 중, 어떤 타겟팅이 더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을까요? 물론 유저 단위로 맞춤화된 메시지를 전달하는, 다이나믹 리타겟팅이 더욱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습니다. 모든 타겟팅 방법 중, 다이나믹 리타겟팅이 가장 강력한 솔루션이라고 자신있게 말씀드릴 수 있어요.

아까 다이나믹 리타겟팅을 설명할 때, 직접 조회한 제품들이 노출된다고 말했지만, 요즘엔 기술들이 더욱 고도화되어 직접 조회한 제품 뿐만 아니라 조회하지는 않았지만, 구매 가능성이 높은 제품들도 추가로 노출하기도 한답니다. 그리고 실제로 직접 조회한 제품에서 보다 조회하지 않은, 추천된 제품에서 더욱 많은 구매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다이나믹 리타겟팅 광고의 작동 원리

리타겟팅 광고의 작동원리는 저번에 설명드렸죠. 웹사이트에 삽입한 스크립트 태그(코드, 픽셀)를 통해 유저의 쿠키를 보관하여, 이 쿠키를 기반으로 행동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리타겟팅을 위한 스크립트 태그는 단순한 코드이기 때문에 단순 복사/붙여넣기 방식으로 손쉽게 웹사이트에 삽입할 수 있습니다. 다만, 다이나믹 리타겟팅 광고를 하기 위해서는 복잡하지만 개발자의 개발이 추가로 필요한데요.

웹사이트 내에 수많은 제품들 별로 어떤 제품을 조회했는지 알 수 있도록, product id(제품 아이디), price(가격), quantity(갯수) 등 각 제품에 대한 정보를 가져올 수 있도록 개발을 해주어야합니다.

더불어 다이나믹 리타겟팅은 태그 작업 이외에도 피드(또는 카탈로그)를 추가로 개발을 해주어야 하는데요. 피드(카탈로그)는 각 제품에 대한 DB(Database)라고 보시면 이해가 수월할 것 같습니다.

[예시]

- product123 /A 스니커즈 / 깔끔하고 세련된 디자인의 A 스니커즈/37,000원 / 상품페이지 url

피드(카탈로그)의 예시, 출처: 구글 애즈 도움말

 

이처럼, 태그(코드, 픽셀) 작업과 피드(카탈로그) 개발 작업이 모두 완료되면, 태그를 통해 유저가 어떤 제품을 조회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피드를 통해 그 제품에 대한 특성들(가격, 상품명, 상품 설명, 상품페이지 링크)을 배너 광고로 불러와 노출을 시키는 원리입니다.

 

즉, 배너 템플릿은 모두 동일하지만, 배너 안에 표시되는 제품들만 바뀌는 원리이고, 이를 위해서는 피드(카탈로그)가 꼭 필요하다는 것이죠!

다이나믹 리타겟팅의 작동원리에 대해 어느정도 이해 되셨는지요? 피드 개념이 조금 어려울 수 있으니 더 자세한 사항은 구글 애즈 도움말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